한국영양학회는 한국인의 초가공식품(Ultra-processed foods, UPFs) 섭취 실태에 대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연구는 2016년부터 2019년까지 진행된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국 중·장년층 및 노인층의 초가공식품 섭취 현황과 주요 기여 식품을 분석한 것이다.
한국 중·장년 및 노인의 연령별 초가공식품 섭취 현황과 주요 기여 식품. 국민건강영양조사(2016–2019년) 데이터 활용. J Nutr Health 2025;58(1):59-76
초가공식품은 비만, 심혈관질환, 당뇨병과 같은 만성질환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초가공식품 섭취를 줄이기 위한 공중 보건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연구에 따르면, 한국의 중·장년층과 노인층에서 초가공식품 섭취가 에너지 및 영양소, 식품 섭취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특히, 초가공식품 섭취가 높은 그룹에서는 총에너지 및 지방 섭취가 높고, 필수 영양소 섭취는 낮은 경향이 나타났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초가공식품을 많이 섭취하는 그룹은 총 에너지,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섭취량이 모두 높았지만, 비타민 A, 비타민 C, 엽산 등의 비타민과 무기질 섭취는 낮았다. 또한, 나트륨 섭취량이 높아 영양 불균형의 위험이 커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연령대별 초가공식품 섭취 패턴에는 차이가 있었다. 중·장년층에서는 소주(14.2%)가 초가공식품 중 가장 높은 칼로리 기여율을 보였으며, 국수(10.7%)와 빵(8.9%)이 뒤를 이었다. 반면, 노인층에서는 국수(16.3%), 떡(10.6%), 크림과 설탕이 첨가된 커피(10.3%)가 상위를 차지했다. 초고령 노인의 경우 크림과 설탕이 첨가된 커피(13.4%), 국수(12.9%), 떡(10.3%)이 주된 초가공식품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섭취 패턴은 연령대별로 초가공식품 소비 경향이 다름을 시사한다.
이번 연구를 진행한 단국대학교 김기랑 교수 연구팀은 “연령별로 초가공식품 섭취 유형이 다르지만, 공통적으로 초가공식품 섭취가 많을수록 영양 불균형 위험이 증가하는 경향이 확인됐다”며, “만성질환 예방 및 관리를 위해 초가공식품 유형에 따른 선택적 섭취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 결과는 한국영양학회지(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2025년 2월호에 발표되었으며, 논문 전문은 해당 학술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