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콘텐츠 전문 글로벌 플랫폼 ODK미디어(대표 차영준)가 국내 AI 창작 프로젝트 ‘2035 AI 숏폼 콘텐츠 공모전’의 전략 파트너로 참여하며, AI 숏폼 콘텐츠의 글로벌 유통에 본격 나섰다. ODK미디어는 공모전 수상작 중 우수작 6편을 엄선해 자사 플랫폼 내 ‘AI 쇼츠’ 전용 스트리밍 섹션을 신설하고, 북미 시청자를 대상으로 한 정식 서비스를 시작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공모전은 콘텐츠 스타트업 팀 제이커브가 주최해 지난 6월 10일 성황리에 종료됐다. 창작자들이 다양한 AI 기술을 활용해 숏폼 콘텐츠를 제작하고, 그 결과물을 플랫폼 유통 단계까지 연결하는 대규모 실험이었다. 특히 비전문 창작자들이 중심이 된 이 프로젝트는 기존 미디어 제작과는 다른 방식으로 창작의 장벽을 낮췄으며, 기술과 예술의 경계를 허물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ODK미디어는 이번 공모전에서 전략적 기술 파트너이자 유통사로 참여해 수상작을 기반으로 한 ‘AI 쇼츠’ 전용관을 구축했다. 시청자들은 북미 지역 어디서든 고품질의 AI 기반 숏폼 콘텐츠를 감상할 수 있으며, 플랫폼 내 스페셜 캐러셀을 통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다. 이번 전용관 신설은 단순한 콘텐츠 배포를 넘어, 북미 시청자의 소비 패턴, 선호 장르, 반응 데이터 등을 수집·분석해 향후 AI 콘텐츠의 상업적 유통 전략 수립에도 실질적인 기초 자료로 활용된다.

Peter Park ODK미디어 CPO 겸 CSO는 “ODK미디어는 기술과 콘텐츠의 경계를 허무는 실험을 지속해왔으며, 이번 프로젝트는 AI 크리에이터에게 글로벌 유통 플랫폼을 제공하는 실질적인 첫 걸음”이라며 “AI 기반 콘텐츠가 국제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창작자 및 기술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확대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번 공모전에는 감정 기반 AI 음성 합성 기술을 보유한 ‘수퍼톤’, 이미지와 텍스트만으로 영상 제작이 가능한 생성형 영상툴 ‘픽스버스’, 메타버스 기반 실시간 협업 플랫폼 ‘오비스’ 등이 기술 파트너로 참여했다. 이들은 비전문 참가자들이 높은 수준의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도록 기술적 기반을 제공하며, AI 창작 생태계의 현실화를 견인했다.

ODK미디어가 신설한 ‘AI 쇼츠’ 전용 스트리밍 섹션은 그 자체로 창작과 유통의 경계를 잇는 실험적 모델이다. 공모전과 플랫폼 서비스가 단순 연결된 것이 아니라, 창작-제작-배포-소비의 전 과정을 AI 중심으로 완성한 유통 구조를 구축했다는 점에서 업계의 주목을 받고 있다.

그간 ODK미디어는 AI 자동 번역·더빙 기술, 인터랙티브 FAST 2.0 채널, 멀티뷰 기능 등 기술 중심의 콘텐츠 유통 인프라를 선제적으로 도입해왔다. 이번 AI 숏폼 프로젝트는 그 연장선에서 기술 기반 창작 콘텐츠가 글로벌 시장에서 실제 소비되고, 평가받을 수 있는 구조로 진화했음을 보여준다.

ODK미디어는 앞으로도 AI 크리에이터를 위한 교육, 실험, 배포, 수익화의 전 과정을 포괄하는 창작 환경 조성과 함께, 글로벌 협업 모델을 통해 AI 콘텐츠 생태계의 확장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번 전용관 오픈은 단기 이벤트에 그치지 않고, 장기적으로 AI 콘텐츠의 유통과 평가 체계에 실질적인 전환점을 마련한 계기로 기록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