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작곡가 강한뫼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실제 2」를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황재인을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황재인: 안녕하세요, 작곡하는 황재인입니다. 해금 연주자로 활동하고 있기도 합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황재인: 선택한 시는 '실제 2'라는 시인데, 제목이 없이 시집에 실렸다는 의미입니다. 김소월의 시들이 주로 구체적인 시어를 가지고 선명한 시상을 그려내면서 민요적인 리듬을 보이는 것에 비해 모호하고 추상적인 느낌이 강한 독특한 시입니다. 불신, 무상함, 외로움, 존재에의 물음 등 다각도의 고뇌가 음산한 분위기 속에 이어지다가, 환상적이고 찬란한 이미지도 곳곳에서 드러납니다. 이 시가 보이고 있는 복잡다단한 착잡함을 입체적인 음악으로 표현하고 싶었습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황재인: 2연의 '죽은 듯이 괴로운 어두운 깊은 골짜기의 꺼림칙한 괴로운 몹쓸 꿈'과 3연의 '밝고 호젓한 보름달', '새벽의 흔들리는 물노래'의 명암 이미지 대비가 아주 강렬하게 다가왔고, '퍼르죽죽한 불길'같이 역설적인 인상이 강한 색채 표현도 인상적이었습니다. 또한 시 처음의 두 연이 서로 순서를 바꾸어 시 마지막에 재배치되는 것에서 구조적인 아름다움을 느꼈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황재인: 2연은 음산한 느낌이 강한 연으로 '푸르죽죽한 불길'이라는 역설적인 표현도 등장하는 곳입니다. 끔찍함을 강조하는 시어들과 역설적인 관계의 신비로운 분위기를 의도했고, 이로써 '몹쓸 꿈'같은 비현실의 느낌을 표현할 수 있겠다고 생각했습니다.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이라는 장르로 표현하는 데 가장 고민했던 부분 혹은 어려우셨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황재인: 한 마디로 정리되지 않는 시상을 지닌 시이기에 여러 성부를 운용할 수 있는 '합창'이 독창 등에 비해 오히려 유리한 점이 있었던 것 같습니다. '합창'이라는 장르에서 오는 어려움보다는, 시가 가진 '거울 구조'를 어떤 식으로 드러낼 것인지, 그리고 이 복합적인 시상을 하나의 완성된 음악으로 엮어야 한다는 구조적, 본질적인 어려움이 더 컸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황재인: 이 시에서 절정으로 여길 수 있는 곳이 한 군데가 아니라고 느꼈습니다. 여러 번의 절정이 음악에서 어떻게 다르게 표현되었는지를 중점적으로 관찰하시면 재미있는 감상이 될 것으로 생각합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황재인: 어떻게 보면 모든 예술의 산장은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자리입니다. 이런 구조를 알아보기 쉬운 방식으로 전면에 내세우는 이런 형식의 공연은 모든 예술가들이 지고 살아가는 임무를 사회에도 상기시키는 데에 유리하다고 생각합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정서나 메시지가 전해지기를 바라시나요?
황재인: 편안하게, 김소월의 시들을 전달받고 가시면 좋겠습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황재인: 오래 고민해봐야 할 문제입니다. 지금으로선, '예술'은 그 자체로 대체 불가능한 절대적인 가치를 지닌 모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표현 의지에 있어 정성과 진심을 추구한 모든 것이 예술입니다. 또한 지금으로서의 이야기이지만, 예술로써 이야기될 수밖에 없는 가치를 많이 함유한 작품일수록 예술다운 예술이라고 느끼게 됩니다.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주세요.
황재인: 지금까지는 주로 국악기를 활용한 작품을 발표할 기회가 많았습니다. 곧 잘츠부르크 모차르테움 작곡과 석사과정 유학길에 오르는데, 국악기 작품을 주로 쓰면서 생성되었을 저만의 직관을 더 다각도로 갈고 닦는 시간이 되길 바랍니다. 학창시절부터 언어학, 특히 역사비교언어학과 음성학에 관심이 많았는데, 아직까지 음악에 직접적으로 적용해볼 기회가 없었어서, 그런 성격의 프로젝트도 근시일 내에 이루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황재인: 이 시는 강물과 산이라는 자연 이미지와 그에 대한 의심을 통해 "흐름과 맞서지 못하는 인간의 마음"을 보여줍니다. '실제 2'가 던지는 질문은 ‘현실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살아갈 것인가’일지도 모릅니다. 이번 공연에서 제 음악이 여러분의 마음속에 그 질문을 부드럽게 던져줄 수 있다면, 그걸로 충분히 행복할 것 같습니다.

한편, 작곡가 황재인이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