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작곡가 강한뫼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항전애창 명주딸기」를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윤지환을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윤지환: 안녕하세요. 자신과 세상을 탐구하고 음악으로 기록해 나가는 작곡가, 윤지환입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윤지환: 이번 작품은 김소월 시인의 연작시 「항전애창 명주딸기」 가운데 제2수에서 영감을 받아 작곡한 합창곡입니다. 항전애창(巷傳哀唱)을 풀어보면, 거리에서 전해지는 슬픈 노래라는 뜻이지요. “흰꽃 흰꽃…”이라는 시구로 시작되는 이 시는, 삶의 끝자락과 죽음을 둘러싼 감각들을 섬세하고 간결하게 포착하고 있습니다. 저는 이 시에서 느껴지는 조용한 비통함과 ‘흰 것’이 가진 이중성, 순수함과 창백함, 그리고 그것이 만들어내는 장면을 음악으로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윤지환: 가장 인상 깊었던 것은 ‘흰’이라는 단어의 반복이었습니다. 이 단어가 단순한 색채를 넘어, 시 전반에 죽음의 냉기, 고요함, 그리고 덧없음을 불러일으킨다는 느낌을 받았어요. 그 대비로 등장하는 ‘검은’이라는 단어는 상실의 실체를 더 또렷하게 드러내는 역할을 하더라고요.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윤지환: 어떤 감정을 직접적으로 묘사하기보다, 그것을 둘러싼 공기, 감촉, 잔향 같은 것들을 음악적으로 조형하려 했습니다. 마치 청중 스스로가 하나의 장례행렬을 지켜보듯 느낄 수 있도록 말이죠.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이라는 장르로 표현하는 데 가장 고민했던 부분 혹은 어려우셨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윤지환: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을 했지만, 결국에는 저의 음악을 만드는 과정이었습니다. 따라서 시의 정서를 그대로 옮기는 작업보다, 시 속 언어가 어떻게 제 음악언어로 소화될 수 있을지, 그리고 이 시가 제게 정서적으로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고민했습니다. 또한 여러 사람의 목소리와 피아노의 소리, 두 대조적인 소리 그룹이 곡의 구조 속에서 어떤 역할을 맡아야 할 지에 대해서도 깊이 생각했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윤지환: 사실 제 음악에서 특별한 부분이나 특정 메시지를 강조하고 싶지 않아요. 제가 작곡한 방식이나 곡에 담긴 개인적인 이야기 혹은 사색 등에 대해서 이야기할 수는 있으나, 결국에는 청중께서 자유롭게 자신의 감각과 시간에 따라 원하는 부분을 경험했으면 합니다. 음악은 시간 속에서 흐르는 예술이기 때문에, 어떤 순간에 귀를 기울이고 또 어떤 순간은 그냥 흘려 보내도 그 자체로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이 곡도 청중 개인만의 특별한 방식으로 받아들이고 지나가길 바랍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윤지환: 문학과 음악, 그리고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이런 무대는 저에게 항상 새로운 생각을 불러일으키는 계기가 됩니다. 문학과 전통에 뿌리를 둔 음악을 쓰면서 ‘내가 결국 이 바탕 위에서 자랐고, 내 음악의 기초도 여기 있구나’ 하는 걸 다시 한 번 깨닫게 되죠. 이 과정은 나 자신을 돌아보게 하고, 무의식적으로 지나쳤던 새로운 시각을 발견하게 해주는 소중한 경험입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윤지환: 예술은 감정을 기억하는 방식이자, 존재를 증명하는 언어입니다. 말로는 표현하기 어려운 감정이나 순간들을 예술은 고스란히 담아내고, 기억하게 해주거든요. 나의 내밀한 감정, 그리고 사색이 누군가의 (단 한사람이라도) 마음을 두드렸을 때, 예술이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는 것 같아요.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윤지환: ‘나는 누구인가’에 대한 질문을 계속해서 음악으로 탐구해 나가고 싶어요. 제 안에 있는 개인적인 이야기들, 사색과 성찰들을 음악에 담아내는 작업을 더 깊이 있게 해보고 싶습니다. 결국 ‘나’라는 존재를 가장 진솔하게 표현할 수 있는 사람은 저 자신이라고 생각하니까요.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 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윤지환: 이 음악은 어떤 정답을 말하려는 곡이 아닙니다. 다만 그 날의 공기 속에서, 저마다의 감정이 살짝 흔들릴 수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합니다. 조용히, 그러나 진심으로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편, 작곡가 윤지환이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