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는 8월 11일(월) 오후 7시 30분, 서초문화예술회관 아트홀에서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YEORO(여로)가 주최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가 열린다. 이번 무대는 여로 콘서트 시리즈의 25번째 공연으로, 12명의 젊은 작곡가들이 김소월의 시를 바탕으로 한 창작 합창곡을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 문학과 음악이 어우러지는 이 자리에서 시와 선율의 새로운 조우가 펼쳐질 예정이다.
클래시안은 이번 합창제에서 김소월의 시 「꿈으로 오는 한 사람」를 바탕으로 신작을 발표하는 작곡가 이상준을 만나, 그의 음악 세계와 예술관을 들어봤다.
― 안녕하세요, 작곡가님에 대해 간단히 소개 부탁드립니다.
이상준: 안녕하세요. 작곡가이자 공연기획자로 활동하고 있는 이상준입니다. 작곡을 통해 저만의 음악 세계를 확장하는 동시에, 무대를 기획하며 음악이 전해지는 방식과 맥락까지 고민하고 있습니다. 창작과 기획이 서로를 자극하고 완성시키는 과정 속에서 늘 새로운 가능성을 발견하고 있습니다.
― 이번 음악회에서 선보이시는 작품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이상준: 이번에 발표하는 곡은 김소월 시인의 시 ‘꿈으로 오는 한 사람’을 바탕으로 한 합창곡입니다. 세월 속에 묻힌 존재와의 꿈속 재회를 통해 그리움을 노래하는 시인데, 저 역시 제 꿈으로 오길 바라는 한 사람을 떠올리며 이 곡을 썼습니다. 단순한 슬픔이 아니라, 따스한 기억이 반겨주는 듯한 시작에서 출발해, 반복되는 꿈의 장면 속에서 점차 감정의 농도를 더하고, 마지막에는 현실과 꿈의 경계를 넘나드는 찰나를 찬란하게 풀어내고자 했습니다.
― 해당 시를 처음 마주하셨을 때 어떤 부분이 가장 강하게 다가왔나요?
이상준: ‘꿈’이라는 공간이 가진 특유의 경계감이었습니다. 현실에서는 닿을 수 없는 사람을 꿈속에서 만난다는 것은, 기쁨과 슬픔이 동시에 존재하는 모순된 경험이잖아요. 그 미묘한 감정의 결을 어떻게 음악적으로 포착할 수 있을지가 제일 먼저 떠올랐습니다.
― 이번 작품에서 특히 음악적으로 강조하고 싶었던 지점은 어디인가요?
이상준: 감정을 과도하게 폭발시키기보다, 처음에는 따뜻하고 잔잔하게 시작해 꿈속 재회가 반복될수록 감정의 밀도를 서서히 높였습니다.
― 김소월 시의 정서를 ‘합창’이라는 장르로 표현하는 데 가장 고민했던 부분 혹은 어려우셨던 부분은 무엇이었나요?
이상준: 합창은 여러 목소리가 동시에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장르이기에, ‘한 사람’을 향한 매우 개인적이고 내밀한 감정을 어떻게 다성부 속에서 유지할 수 있을지가 고민이었습니다. 각 파트가 독립적으로 움직이면서도 결국 하나의 목소리로 모이는 순간, 그 ‘한 사람’이 존재하는 듯한 울림을 만들고자 했습니다.
― 이 작품을 처음 접하는 관객이 ‘이 부분만은 놓치지 않고 들었으면’ 하는 부분이 있다면요?
이상준: 곡의 마지막 부분에서 현실과 꿈의 장면이 겹쳐지는 순간입니다. 청중이 ‘이곳이 꿈인가, 현실인가’를 잠시 잊도록 의도했습니다. 그 찰나를 함께 느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이번 합창제처럼 ‘문학과 음악’,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무대가 작곡가님께 주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이상준: 이번 공연을 기획하기도 했지만, 이런 무대는 창작의 깊이를 넓히는 방법 중 하나라 생각합니다. 문학이라는 이미 완성된 예술을 마주할 때, 그 안에 담긴 언어와 정서를 존중하면서도 제 시대의 언어로 다시 써 내려가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전통과 현대가 만나는 지점에서 새로운 감각과 구조가 탄생하는 순간이 제겐 매우 매력적입니다.
― 이번 공연을 통해 청중에게 어떤 정서나 메시지가 전해지기를 바라시나요?
이상준: 각자의 ‘꿈으로 오는 한 사람’을 떠올리셨으면 합니다. 그 사람이 누구든, 그 존재가 남긴 온기와 감정이 음악 속에서 다시 한 번 살아나는 순간이 있길 바랍니다.
― 작곡가님이 생각하는 ‘예술’이란 무엇인가요? 그리고 그 예술이 ‘언제’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시나요?
이상준: 제게 예술은 기억과 감정을 보존하는 또 하나의 시간입니다. 그리고 그것이 가장 예술답게 느껴지는 순간은, 그 시간이 다른 사람에게 전해져 새로운 기억과 감정을 만드는 순간입니다.
― 앞으로 탐구하고 싶은 음악적 주제나, 도전해보고 싶은 새로운 부분이 있다면 공유해 주세요.
이상준: 작곡과 기획을 함께 하는 사람으로서, 음악의 창작과 전달을 하나의 예술적 서사로 엮는 작업을 계속해보고 싶습니다. 한 곡의 완성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곡이 무대에서 어떤 맥락과 이야기를 만들어낼 수 있는지를 깊이 탐구하고 싶습니다.
― 마지막으로, 이번 무대를 찾아주실 관객 여러분께 한 말씀 부탁드립니다.
이상준: 열두 명의 작곡가가 열두 편의 시를 음악으로 풀어낸 무대입니다. 그 속에서 ‘꿈으로 오는 한 사람’이 여러분의 마음에 잔잔한 흔적을 남기길 바랍니다. 끝까지 귀 기울여 주셔서 감사합니다.
한편, 작곡가 이상준이 참여하는 <제4회 여로 창작 합창제: 김소월을 말하다>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현대음악 창작단체 여로의 SNS 채널 및 NOL 티켓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클래시안 이현승 기자
*클래시안에서는 여러분의 소중한 제보를 기다립니다. classian.korea@gmail.com을 통해 메일 제보, http://www.classian.co.kr/ 기사제보란을 통해 온라인 제보가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