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전체 메뉴
전체 메뉴
문화
공연예술
시각예술
영화
도서
전통예술
교육
재단·공간
직업
게임
종교
기획/특집
오피니언
영상/포토
방송/연예
문화
공연예술
시각예술
영화
도서
전통예술
교육
재단·공간
직업
게임
종교
기획/특집
오피니언
영상/포토
방송/연예
전체 기사
검색
로그인
회원가입
검색
마이페이지
제목
내용
작성자
제목+내용
검색
초기화
전체메뉴
전체기사보기
문화
기획/특집
오피니언
영상/포토
방송/연예
신문사 소개
찾아오시는 길
기사제보
광고문의
불편신고
이용약관
개인정보취급방침
청소년보호정책
이메일무단수집거부
Home
'노승주 기자' 작성자 검색 결과
전체
다음
이전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7 : 토시오 호소카와(Toshio Hosokawa) 2부
예토전생 : 토시오 호소카와 1부 읽으러 가기앞서 말했듯 그는 오페라 장르에도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 전통 음악, 전통 미학에 대한 그의 관심이
노승주 기자
2020.04.16 10:48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7 : 토시오 호소카와(Toshio Hosokawa) 1부
토시오 호소카와. 그의 음악은 그 자신을 닮았다. 그는 말을 할 때에도 절제된 손동작과 표정을 통해 자신이 말하고자 하는 내용, 자신의 생각을 지극히 안전하게 전달한다. 그라는 인물 그 자체가 그의 예술활동의 특징에 강하게 결부되어 있다. 그는 오래도록 이어져온 수도자적 예술가, 욕심 없이 정직하게 자신을 표현하는 청렴한
노승주 기자
2020.03.24 15:48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6 : 존 아담스(John Adams) 2부
예토전생 : 존 아담스 1부 읽으러 가기
노승주 기자
2020.03.02 09:11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6 : 존 아담스(John Adams) 1부
예술사의 진행과정에 대해 생각해본 적이 있는가. 어떤 장르의 거시적 역사를 짚어가다 보면 흥미로운 점을 하나 발견하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그 장르의 동시대 예술가들에게 유행하는 기법이 시대를 거침에 따라 복잡함과 단순함으로 그 지향을 달리해간다는 것이다. 화려하고 정교한 묘사가 중요했던 고대 그리스 - 로마 미술이 극도의
노승주 기자
2020.02.18 09:39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5 : 토마스 아데스(Thomas Ad?s) 2부
예토전생[穢土?生] 2-5 : 토마스 아데스(Thomas Adès) 1부 읽으러 가기
노승주 기자
2020.01.31 17:38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5 : 토마스 아데스(Thomas Ad?s) 1부
첫째, LA 필하모닉, 보스턴 심포니 오케스트라, 런던 심포니 오케스트라, 로열 콘서트 허바우, 멜버른 심포니 오케스트라, 버밍엄 심포니 오케스트라 등과 같은 서구권 유수의 주요 교향악단에서 지휘하는 스타 지휘자. 둘째, 로열 오페라 하우스, 런던 오페라 하우스, 뉴욕의 메트로 폴리탄 오페라 등에서 데뷔한 오페라 음악감독
노승주 기자
2020.01.20 09:55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4 : 벤트 소렌센(Bent Sorensen)
현재의 음악은 언제나 과거의 음악을 반영한다. 이는 개인적 측면에서도, 사회적 측면에서도 참이다. 한 작곡가의 삶을 생각해보자. 모든 예술이 다 그렇겠지만 음악은 특히나 개인의 숙달된 기술과 공동체의 축적된 문화적 자원을 토대로 하는 예술이기에 어떤 한 사람이 뛰어난 작곡가가 되기 위해선 어려서부터 악기의 연주법을 훈련하
노승주 기자
2020.01.07 12:30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3 : 에사-페카 살로넨(Esa-Pekka Salonen)
지휘자를 겸하는 작곡가들이 있다. 가령 피에르 불레즈(Pierre Boulez, 1925~2016). 그의 지휘는 계산적이고 철저히 악보 중심적인 것으로 유명하다. 이러한 그의 지휘 스타일은 때로 인간미가 없다는 비판을 받기도 한다. 이는 아마 음악가로서 그 자신이 가진 총체적 자아에서 기인한것일터다. 즉 총렬주의의 선구
노승주 기자
2019.12.09 11:35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2 : 베른하르트 랑(Bernhard Lang)
현대 클래식 음악이 다른 장르와 크게 구별되는 점 한 가지는 아무래도 여전히 강고한 힘을 발휘하는 현장성일 것이다. 과거엔 음원(LP 혹은 CD)이 연주의 기록으로 여겨졌지만 시대가 변하고 음원 전송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이젠 연주가 음원(mp3)의 재현으로 받아들여지는 게 보통이다. 그러나 그런 상황에서도 클래식 장르는
노승주 기자
2019.11.25 09:39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1 : 아프리카, 우간다, 그리고 타무수자(Justinian Tamusuza) 2부
아프리카, 우간다, 그리고 타무수자 1부 읽으러 가기유스티니안 타무수자는 캄팔라의 마케레레 대학(Makerere University)에서 작곡 학사를 받았다. 마케레레 대학이라는 공간은 나에게 다양한 상념을 불러일으킨다. 그것은 대개 시각적인 이미지다. 우선, 이것부터 말해두겠다.
노승주 기자
2019.11.13 10:04
기획/특집
예토전생[穢土?生] 2-1 : 아프리카, 우간다, 그리고 타무수자(Justinian Tamusuza) 1부
예토전생 시즌2를 시작하며 필자는 원래 아프리카 현대음악계의 흐름을 계통적으로 개괄해보고자 했었다. 일단 지금까지 별로 연구되지 않았던 주제라 흥미로울 것 같았고 제3세계(혹은 제3세계였던)의 클래식 음악계라는 엇비슷한 환경인 만큼 우리 음악계를 돌아보는 데에도 유용한 시사점들을 많이 제공할 것 같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노승주 기자
2019.10.28 14:18
1
내용
내용